맨위로가기

소닉 더 헤지혹 (2006년 비디오 게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닉 더 헤지혹(2006)은 2006년에 출시된 3D 액션 어드벤처 플랫폼 게임으로,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15주년을 기념하여 개발되었다. 소닉, 섀도우, 실버 세 명의 고슴도치를 주인공으로 하며, 각기 다른 플레이 스타일을 제공한다. 게임은 허브 월드를 탐험하고 레벨을 진행하며, 멀티플레이어 모드도 지원한다. 하지만, 버그, 조작 문제, 레벨 디자인, 스토리 등으로 인해 비평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으며, 한국에서는 게임 속 실버의 대사, 엘리스의 절벽 낙하 장면, 발매 연도 등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연관되어 패러디되기도 했다. 이 게임의 실패는 소닉 시리즈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작품들의 방향성에 변화를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취소된 Wii 게임 - 문명 레볼루션
    문명 레볼루션은 파이락시스 게임즈에서 개발한 턴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기원전 4000년부터 문명을 건설하고 발전시켜 다양한 승리 조건을 통해 다른 문명과의 경쟁에서 승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콘솔 플랫폼으로 출시되어 그래픽 향상, 빠른 게임 전개, 조작 간편화 등의 특징과 다양한 문명과 지도자를 제공한다.
  • 취소된 Wii 게임 - 메달 오브 아너: 에어본
    메달 오브 아너: 에어본은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미 육군 82 공수 사단 소속 공수부대원 보이드 트래버스의 시점에서 주요 작전에 참여하며, 낙하산을 이용한 자유로운 침투와 강화된 인공지능이 특징인 1인칭 슈팅 게임이다.
  • 소닉 더 헤지혹 비디오 게임 - 소닉 슈퍼스타즈
    소닉 슈퍼스타즈는 세가에서 발매한 사이드 스크롤 플랫폼 게임으로, 소닉, 테일즈, 너클즈, 에이미 로즈 등 다양한 캐릭터를 선택하여 닥터 에그맨의 음모를 막기 위해 북극성 제도를 탐험하며, 최대 4인까지 멀티플레이가 가능하다.
  • 소닉 더 헤지혹 비디오 게임 - 소닉 프론티어
    소닉 프론티어는 세가에서 2022년에 발매한 3D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시리즈 최초로 오픈 월드 시스템을 도입하여 소닉이 스타폴 제도를 탐험하며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으고 섬의 비밀을 밝히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 취소된 윈도우 게임 - 스텔라 블레이드
    스텔라 블레이드는 주요 게임 평가 웹사이트 및 잡지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비디오 게임으로, 메타크리틱과 오픈크리틱에서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여러 매체로부터 긍정적인 평가와 일부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취소된 윈도우 게임 -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비디오 게임)
    2002년에 출시된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은 영화의 장면과 요소를 기반으로 아라고른, 김리, 레골라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플레이하는 3인칭 핵 앤드 슬래시 액션 비디오 게임으로, 다양한 플랫폼으로 출시되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시각적 엔지니어링 분야의 뛰어난 성과" 상을 수상했다.
소닉 더 헤지혹 (2006년 비디오 게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소닉 더 헤지호그가 달리는 게임 박스 아트. 게임 로고가 중앙에 있다.
소닉 더 헤지호그 (2006) 박스 아트
원제Sonic the Hedgehog
일본어 표기소닉・더・헤지호그 (ソニック・ザ・ヘッジホッグ)
로마자 표기Sonikku za Hejjihoggu
개발 정보
개발사소닉 팀
유통사세가
디렉터나카무라 슌
프로듀서구모노 마사히로
아티스트미카메 아키라
디자이너나카무라 슌
간노 아쓰시
프로그래머가와바타 요시타카
스즈키 마코토
시나리오 작가요시무라 기요코
마에카와 시로
작곡가고바야시 히데아키
오타니 토모야
난바 마리코
사토 다이헤이
에구치 다카히토
출시 정보
플랫폼엑스박스 360
플레이스테이션 3
출시일 (엑스박스 360)북미: 2006년 11월 14일
유럽/호주: 2006년 11월 24일
일본: 2006년 12월 21일
출시일 (플레이스테이션 3)일본: 2006년 12월 21일
북미: 2007년 1월 30일
유럽/호주: 2007년 3월 23일
게임 정보
장르플랫폼 게임
액션 어드벤처 게임
모드싱글 플레이어
멀티 플레이어
엔진Havok Physics
심의 정보
ESRBE10+
PEGI12+
CEROA
OFLCPG
USK6

2. 게임플레이

''소닉 더 헤지혹''은 3D 플랫폼 게임으로, 액션 어드벤처 게임롤플레잉 게임 요소를 갖추고 있다.[52] ''소닉 어드벤처''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어는 마을 사람들과 대화하고 이야기를 진행하기 위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개방형 허브 월드를 탐색한다.[79] 주요 게임 플레이는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 접근할 수 있게 되는 선형 레벨에서 진행된다. 주요 플레이 가능 캐릭터는 세 명의 고슴도치로, 소닉, 섀도, 실버이며, "에피소드"라는 별도의 캠페인에 등장한다.[75] 첫 세 에피소드를 완료하면 세 고슴도치가 모두 등장하여 스토리를 마무리하는 보너스 "라스트 에피소드"가 잠금 해제된다.[54][1]

소닉이 전속력으로 달리고 있는 "킹덤 밸리" 스테이지에서 촬영한 게임 플레이 스크린샷


소닉의 이야기는 이전 ''소닉'' 게임에서 볼 수 있었던 속도 기반의 플랫폼 게임 플레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일부 구간에서는 장애물을 피하거나 스노보드를 타면서 전속력으로 달린다.[75] 또 다른 캐릭터인 엘리스 공주는 일부 스테이지에서 호위해야 하며, 소닉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한 방어막을 사용할 수 있다.[4] 섀도의 섹션도 마찬가지로 속도감 있게 진행되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차량을 타면서 전투 지향적인 면모를 보인다.[52] 반면, 실버의 레벨은 더 느리고, 적을 물리치고 퍼즐을 풀기 위해 염력을 사용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특정 지역에서는 여러 친구 캐릭터 중 하나로 제어할 수 있다. 이들은 각자 고유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75][76][2][3]

각 캐릭터는 동일한 레벨을 탐험하지만, 고유한 능력으로 인해 플레이어는 각 스테이지의 다른 구역에 접근하고 특정 아이템에 접근하지 못하게 된다. 각 레벨에는 금색 링이 흩어져 있는데, 이는 체력의 역할을 한다. 링은 적이나 장애물로부터 한 번의 공격을 막아주며, 이 시점에서 링은 흩어져 깜빡이다가 사라진다. 게임은 소닉, 섀도, 실버가 각각 제한된 수의 목숨을 가지고 시작한다. 이 목숨은 캐릭터가 링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적이나 장애물에 맞거나 치명적인 위험에 처할 때마다 잃게 된다. 플레이어가 캐릭터의 목숨을 모두 소진하면 게임이 종료된다.[75][2][3] 레벨과 허브 월드의 특정 지역에는 플레이어가 모험을 통해 얻는 은화인 실버 메달이 흩어져 있다.[1] 몇 레벨마다 플레이어는 보스 스테이지를 만나게 되며, 진행하려면 보스의 체력 미터를 고갈시켜야 한다.[45]

레벨 또는 임무를 완료하면 플레이어는 수행 능력에 따라 등급을 받으며, "S" 랭크가 최고이고 "D" 랭크가 최저이다. 플레이어는 임무를 완료하면 돈을 받으며, 랭크가 높을수록 더 많은 돈을 받는다. 이 돈은 플레이어 캐릭터의 업그레이드를 구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업그레이드는 게임을 완료하는 데 필요하다.[4] 이 게임은 또한 두 가지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한다. "태그"는 두 명의 플레이어가 협력하여 레벨을 클리어하고 카오스 에메랄드를 수집해야 하는 협동 모드이며, "배틀"은 두 명의 플레이어가 서로 경쟁하는 플레이어 대 플레이어 모드이다.[75]

2. 1. 허브 월드

''소닉 더 헤지혹''은 3D 플랫폼 게임으로, 액션 어드벤처 게임롤플레잉 게임 요소를 갖추고 있다.[52] ''소닉 어드벤처''와 마찬가지로, 플레이어는 마을 사람들과 대화하고 이야기를 진행하기 위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개방형 허브 월드를 탐색한다.[79] 주요 게임 플레이는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 접근할 수 있게 되는 선형 레벨에서 진행된다.

2. 2. 레벨



''소닉 더 헤지혹''은 3D 플랫폼 게임으로, 액션 어드벤처 게임롤플레잉 게임 요소를 갖추고 있다.[52] 주요 게임 플레이는 게임이 진행됨에 따라 접근할 수 있게 되는 선형 레벨에서 진행된다.[75] 각 캐릭터는 고유한 능력을 가지고 있어, 같은 레벨이라도 다른 구역에 접근하거나 특정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75][76][2][3]

각 레벨에는 금색 링이 흩어져 있는데, 이는 체력의 역할을 한다.[75] 링은 적이나 장애물로부터 한 번의 공격을 막아주며, 이 시점에서 링은 흩어져 깜빡이다가 사라진다. 게임은 소닉, 섀도, 실버가 각각 제한된 수의 목숨을 가지고 시작한다. 이 목숨은 캐릭터가 링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적이나 장애물에 맞거나 치명적인 위험에 처할 때마다 잃게 된다. 플레이어가 캐릭터의 목숨을 모두 소진하면 게임이 종료된다.[75][2][3]

몇 레벨마다 플레이어는 보스 스테이지를 만나게 되며, 진행하려면 보스의 체력 미터를 고갈시켜야 한다.[45] 레벨 또는 임무를 완료하면 플레이어는 수행 능력에 따라 등급을 받으며, "S" 랭크가 최고이고 "D" 랭크가 최저이다. 플레이어는 임무를 완료하면 돈을 받으며, 랭크가 높을수록 더 많은 돈을 받는다.[4]

2. 3. 캐릭터

''소닉 더 헤지혹''은 3D 플랫폼 게임으로, 액션 어드벤처 게임롤플레잉 게임 요소를 갖추고 있다.[52] 주요 플레이 가능 캐릭터는 소닉, 섀도, 실버 세 명의 고슴도치이며, "에피소드"라는 별도의 캠페인에 등장한다.[75] 이 세 에피소드를 모두 완료하면 세 고슴도치가 모두 등장하는 "라스트 에피소드"가 해금된다.[54][1]

소닉은 속도 기반, 섀도는 전투 지향적, 실버는 염력을 사용하는 것에 중점을 둔 플레이 방식을 보여준다.[75][52] 특정 지역에서는 친구 캐릭터 (테일즈, 너클즈 디 에키드나, 루즈 더 배트, E-123 오메가, 에이미 로즈, 블레이즈 더 캣) 중 하나를 조작하여 각자의 고유한 능력을 활용할 수 있다.[75][76][2][3]

각 캐릭터는 동일한 레벨을 탐험하지만, 고유한 능력으로 인해 각 스테이지의 다른 구역에 접근하고 특정 아이템에 접근하지 못하게 된다. 금색 링은 체력 역할을 하며, 링이 없는 상태에서 피해를 입으면 목숨을 잃게 된다. 모든 목숨을 소진하면 게임이 종료된다.[75][2][3]

2. 4. 기타

''소닉 더 헤지혹''은 3D 플랫폼 게임으로, 액션 어드벤처 게임롤플레잉 게임 요소를 갖추고 있다.[52] 각 레벨에는 금색 링이 흩어져 있는데, 이는 체력의 역할을 한다.[75] 링은 적이나 장애물로부터 한 번의 공격을 막아주며, 이 시점에서 링은 흩어져 깜빡이다가 사라진다. 게임은 소닉, 섀도, 실버가 각각 제한된 수의 목숨을 가지고 시작한다. 이 목숨은 캐릭터가 링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적이나 장애물에 맞거나 치명적인 위험에 처할 때마다 잃게 된다. 플레이어가 캐릭터의 목숨을 모두 소진하면 게임이 종료된다.[75][2][3]

레벨과 허브 월드의 특정 지역에는 플레이어가 모험을 통해 얻는 은화인 실버 메달이 흩어져 있다.[1] 몇 레벨마다 플레이어는 보스 스테이지를 만나게 되며, 진행하려면 보스의 체력 미터를 고갈시켜야 한다.[45]

레벨 또는 임무를 완료하면 플레이어는 수행 능력에 따라 등급을 받으며, "S" 랭크가 최고이고 "D" 랭크가 최저이다. 플레이어는 임무를 완료하면 돈을 받으며, 랭크가 높을수록 더 많은 돈을 받는다. 이 돈은 플레이어 캐릭터의 업그레이드를 구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업그레이드는 게임을 완료하는 데 필요하다.[4]

2. 5. 멀티플레이어 모드

''소닉 더 헤지혹''은 두 가지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한다.[75] "태그"는 두 명의 플레이어가 협력하여 레벨을 클리어하고 카오스 에메랄드를 수집해야 하는 협동 모드이며,[75] "배틀"은 두 명의 플레이어가 서로 경쟁하는 플레이어 대 플레이어 모드이다.[75]

스토리 모드는 1인 플레이 전용이지만, 본작에는 2인 플레이용 멀티플레이 모드가 존재한다. TAG 모드에서는 소닉, 섀도, 실버 3명 중 1명씩 선택하여 스토리 모드에 등장했던 스테이지에 도전하며, 같은 캐릭터는 선택할 수 없고 아미고 캐릭터도 사용할 수 없다. 스테이지 마지막에 있는 카오스 에메랄드를 어느 한쪽 플레이어가 획득하면 다음 스테이지로 진행할 수 있으며, 스테이지 클리어 시 저장이 가능하여 재플레이 시 같은 스테이지부터 시작할 수 있다. TAG 모드 특유의 기믹으로 인해 2명이 협력해야 하며, 스테이지에 설치된 포인트 마커는 양쪽 플레이어 모두에게 유효하다. 잔기는 2명이 공유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BATTLE 모드에서는 소닉, 섀도, 실버 3명 중 한 명씩 선택하여 스테이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같은 캐릭터나 아미고 캐릭터는 선택할 수 없다. BATTLE 모드는 경주만 진행하며, 먼저 스테이지 마지막에 도착한 플레이어가 승리한다. 잔기는 존재하지 않아 몇 번이라도 부활 가능하다.

3. 스토리

게임 스토리는 소닉, 섀도우, 실버의 스토리가 얽히면서 진행된다.(참고로 이 겜에서 실버 더 헤지혹이 처음 등장한다.)

닥터 에그맨은 파멸의 불꽃을 이용하기 위해 솔레아나의 엘리스 공주를 납치한다. 파멸의 불꽃은 엘리스 안에 봉인된 파괴적인 힘이다. 친구 테일즈와 너클즈의 도움을 받아 소닉은 에그맨으로부터 엘리스를 구출하기 위해 노력한다. 한편, 섀도우, 동료 요원 루즈, 그리고 에그맨은 우연히 악령 메필레스를 해방시킨다. 이 영혼은 요원 듀오를 악마 괴물 이블리스에 의해 황폐화된 포스트 아포칼립스 미래로 이동시킨다. 메필레스는 생존자 실버와 블레이즈를 만나 소닉이 파괴의 원인이라고 속이고 그들을 현재로 보내 소닉을 죽이도록 한다.

이야기 전반에 걸쳐 소닉과 친구들은 메필레스와 이블리스를 막고 닥터 에그맨으로부터 엘리스를 보호하기 위해 과거, 현재, 미래를 넘나든다. 처음에는 실버가 소닉을 따라다니며 엘리스를 구하려는 시도를 방해했지만, 섀도우는 소닉이 그의 세계의 고통의 원인이 아니라 자신의 사악한 목적을 위해 과거를 바꾸려 하는 메필레스라고 그에게 밝힌다. 그들은 10년 전 과거로 가서 메필레스가 어린 시절 엘리스 안에 봉인된 이블리스와 결합하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 그들은 솔레아나의 전능한 신, 솔라리스의 두 조각이기 때문이다. 메필레스는 결국 소닉을 죽여 엘리스가 그의 죽음에 슬퍼하게 만들고, 카오스 에메랄드를 사용하여 엘리스의 봉인을 풀어 이블리스와 합쳐 솔라리스가 됨으로써 성공하며, 그 후 시간을 삼키려고 한다. 영웅들과 엘리스는 각각 카오스 에메랄드의 힘을 모아 소닉을 부활시키고, 소닉, 섀도우, 실버는 슈퍼 형태로 변신하여 솔라리스를 물리친다. 소닉과 엘리스는 과거로 보내져 솔라리스의 불꽃을 끄고, 신을 존재에서 제거하여 사건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5]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닉과 엘리스는 그들의 만남을 기억하는 희미한 징후를 보인다.

; 소닉 더 헤지혹

: 물의 도시 솔레아나 공국에서 열리고 있던 불꽃 축제. 그것이 클라이맥스에 다다랐을 때, 갑자기 닥터 에그맨이 나타나 솔레아나의 제1 황녀 엘리스를 카오스 에메랄드와 함께 데려가려 한다. 그 자리에 있던 소닉은 에그맨의 로봇을 물리치고 엘리스를 돕지만, 도주 중에 에그맨의 기습으로 엘리스를 빼앗기고 만다. 과연 소닉은 엘리스를 구해낼 수 있을까.

; 섀도우 더 헤지혹

: 에그맨의 기지에서 솔레아나 공국에서 빼앗긴 수수께끼의 아이템, 어둠의 장막을 가지고 나오는 임무를 수행하던 루즈가 기지에 붙잡히고 만다. 대통령의 의뢰로 섀도우는 루즈 구출 임무를 맡아 성공한다. 그러나 GUN과의 합류 전에 에그맨과 조우하게 되어, 싸우는 도중에 어둠의 장막이 부서지고 만다. 그러자 그곳에서 "어둠의 메피레스"라고 칭하는, 섀도우를 알고 그의 모습을 본뜬 수수께끼의 생명체가 나타난다. 메피레스에 의해 200년 이상 후의 붕괴된 미래로 날아가 버리는 섀도우와 루즈. 과연 황폐해진 미래에서 원래 시대로 돌아갈 수 있을까. 그리고 메피레스는 대체 누구인가.

; 실버 더 헤지혹

: 황폐해진 미래에서 태어났지만 긍정적으로 살아가는 은색 고슴도치. 블레이즈와 함께 세계를 파괴하고 몇 번을 쓰러뜨려도 되살아나는 불꽃의 재앙, 이블리스와 몇 번이나 싸워왔다. 그러나 갑자기 수수께끼의 남자 메피레스가 나타나 "과거로 돌아가 이블리스를 불러일으킨 원흉, 이블리스 트리거를 죽여 미래를 바꿔라"라고 제안한다. 메피레스는 "파란 고슴도치"가 이블리스 트리거라는 것을 전한다. 실버는 과연 미래를 구할 수 있을까.

; 라스트 에피소드

;: 엘리스의 눈물 소닉 사망

::: 닥터 에그맨을 쓰러뜨리고 무사히 엘리스를 돕게 된 소닉. 두 사람이 솔레아나로 향하려 할 때, 거기에 수상한 카오스 에메랄드가 나타나, 두 사람은 눈부신 빛에 휩싸인다. 게다가 뒤에서 메피레스가 나타나, 소닉을 겨냥해 어둠의 창으로 심장을 꿰뚫는다. 소닉은 살해당하고 만다. 고소하는 메피레스. 소닉의 죽음으로 충격을 받은 엘리스는 무너져 내리고 만다. 메피레스는 이블리스의 봉인을 푸는 것이 노림수였던 것이다. 메피레스는 카오스 에메랄드에 마지막 쇼를 올리라고 명령했다.

;: 엘리스의 기도 소닉 부활

::: 7개의 카오스 에메랄드를 사용하여 기도를 하는 엘리스. 내 곁으로 돌아와 달라고 엘리스가 소닉에게 키스를 한다. 그러자, 카오스 에메랄드의 힘이 작용한 것인지, 엘리스의 목소리가 닿은 것인지, 소닉이 부활했다. 눈에 가득 눈물을 담고 소닉에게 껴안기는 엘리스. 부활한 소닉은 섀도우와 실버와 함께 솔라리스와 최종 결전에 도전한다.

3. 1. 소닉 더 헤지호그



닥터 에그맨은 "재앙의 불꽃"의 비밀을 이용하기 위해 솔레아나의 엘리스 공주를 납치한다.[105] 이 불꽃은 엘리스 안에 봉인된 파괴적인 힘으로, 솔레아나의 태양신 솔라리스에게서 비롯되었다.[105] 솔라리스의 분노는 전 세계를 파괴할 힘을 가졌으며, 10년 전 엘리스의 아버지가 사망한 사건도 이와 관련이 있다.[105]

소닉은 테일즈와 너클즈의 도움을 받아 엘리스를 구출하고 에그맨의 음모를 저지하려 한다.[105][106] 소닉 일행은 에그맨의 본부에 잠입하지만, 오히려 에그맨에게 카오스 에메랄드를 빼앗기고 미래로 날아가 버린다.[106] 미래에서 소닉 일행은 모든 것이 파괴된 광경을 목격하고, 섀도우와 루즈를 만나 함께 현재로 돌아가려 한다.[106]

한편, 미래에서 온 실버는 메필레스에게 속아 소닉이 이블리스를 탄생시킨 "이블리스 트리거"라고 믿고 소닉을 방해한다.[106] 그러나 섀도우는 실버에게 진실을 알려주고, 메필레스가 자신의 목적을 위해 과거를 바꾸려 한다는 것을 밝힌다.[5]

소닉은 에그맨에게서 엘리스를 여러번 구출하지만, 에그맨의 협박과 전함 폭발 등으로 위기를 맞는다.[106] 실버의 도움으로 소닉은 과거로 돌아가 엘리스를 구출하고, 에그맨의 음모를 막는데 성공한다.

3. 2. 섀도우 더 헤지혹

GUN의 에이전트인 섀도우는 에그맨의 기지에서 SOS를 보낸 루즈 더 뱃의 구출 임무를 맡는다.[107] 루즈는 '어둠의 홀'을 회수하라는 명령을 받았고, 섀도우에게 킹덤 밸리까지의 에스코트를 요구한다. 섀도우는 이를 승낙하지만, 어둠의 홀이 깨지면서 메필레스가 깨어난다.[107] 메필레스는 섀도우와 루즈를 200년 뒤의 미래로 보내고, 섀도우는 그곳에서 기능이 정지된 E-123 오메가를 만난다.

미래에서 섀도우는 메필레스를 만나고, 메필레스는 인간들이 섀도우를 봉인했다는 사실을 알려주며 섀도우를 자신의 편으로 끌어들이려 한다.[107] 하지만 섀도우는 이를 거부하고, 오메가의 도움을 받아 메필레스와 싸운다. 현재로 돌아온 섀도우는 메필레스의 정체를 파악하기 위해 에그맨을 만나고, 메필레스가 "솔라리스 프로젝트"의 실패작임을 알게 된다.[107]

이후 섀도우는 소닉을 죽이려는 실버를 막고, 실버와 함께 10년 전의 솔레아나로 간다.[107] 그곳에서 솔라리스 프로젝트가 폭주하여 메필레스와 이블리스가 분리되는 것을 목격하고, 섀도우는 메필레스를 어둠의 홀에 봉인한다.[107]

현재로 돌아온 섀도우는 다시 메필레스를 쫓고, 오메가로부터 미래에 섀도우를 봉인한 것이 자신이라는 사실을 듣게 된다. 섀도우는 더스티 데저트에서 메필레스와 다시 대적하지만, 메필레스의 봉인에 실패한다.[108] 섀도우는 자신의 리미터를 해제하고 메필레스의 분신들과 싸운다.

3. 3. 실버 더 헤지혹



실버 더 헤지혹은 황폐해진 미래에서 태어나 긍정적으로 살아가는 은색 고슴도치이다.[5] 블레이즈와 함께 세계를 파괴하고 몇 번을 쓰러뜨려도 되살아나는 불꽃의 재앙, 이블리스와 몇 번이나 싸워왔다.[5] 그러던 중, 수수께끼의 남자 메필레스가 나타나 "과거로 돌아가 이블리스를 불러일으킨 원흉, 이블리스 트리거를 죽여 미래를 바꿔라"라고 제안하며, "파란 고슴도치"가 이블리스 트리거라고 알려준다.[5]

메필레스에게 속아 소닉을 '이블리스 트리거'로 오해한 실버는 소닉을 제거하려 한다.[5] 소닉을 따라다니며 엘리스를 구하려는 시도를 방해하지만, 섀도우는 소닉이 그의 세계의 고통의 원인이 아니라 자신의 사악한 목적을 위해 과거를 바꾸려 하는 메필레스라고 그에게 밝힌다.[5] 섀도우와 함께 10년 전 과거로 간 실버는 메필레스가 어린 시절 엘리스 안에 봉인된 이블리스와 결합하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5]

이후, 메필레스는 소닉을 죽여 엘리스가 슬픔에 빠지게 하고, 카오스 에메랄드를 사용하여 엘리스의 봉인을 풀어 이블리스와 합쳐 솔라리스가 됨으로써 목적을 달성한다. 시간을 삼키려는 솔라리스에 맞서, 영웅들과 엘리스는 각각 카오스 에메랄드의 힘을 모아 소닉을 부활시키고, 소닉, 섀도우, 실버는 슈퍼 형태로 변신하여 솔라리스를 물리친다.[5]

3. 4. 라스트 에피소드

닥터 에그맨을 물리치고 엘리스를 구출한 소닉은 솔레아나로 향하던 중, 카오스 에메랄드의 빛에 휩싸인다. 그 뒤 나타난 메필레스가 소닉을 겨냥해 어둠의 창으로 심장을 꿰뚫어, 소닉은 살해당한다.[5] 소닉의 죽음에 충격을 받은 엘리스는 슬픔에 무너지고, 메필레스는 이것이 이블리스의 봉인을 풀기 위한 계획이었음을 밝힌다. 메필레스는 카오스 에메랄드에게 마지막을 장식하라고 명령한다.

엘리스는 7개의 카오스 에메랄드를 사용하여 소닉이 돌아오기를 기도한다. 엘리스의 간절한 기도가 닿았는지, 카오스 에메랄드의 힘으로 소닉은 부활한다. 엘리스는 눈물을 흘리며 소닉에게 안기고, 부활한 소닉은 섀도우, 실버와 함께 슈퍼 형태로 변신하여 솔라리스와의 최종 결전에 나선다.[5]

4. 등장인물

4. 1. 플레이어 캐릭터

소닉 더 헤지혹은 세계 최고 속도의 고슴도치로, 이번 작품에서는 소레아나 공국의 공주 엘리스를 납치하려는 에그맨에 맞선다. 엘리스를 한 명의 여성으로 대하며 그녀의 마음을 열어가지만, 에그맨의 함정에 빠져 미래 세계로 날아가게 된다. 섀도우 더 헤지혹과 루즈의 도움으로 현재로 돌아온 소닉은, 마지막까지 엘리스의 비밀이나 에그맨의 음모, 메피레스의 존재를 모른 채 행동한다. 결국 메피레스에게 살해당하지만, 카오스 에메랄드와 엘리스의 기도로 부활하여 섀도우, 실버와 함께 소라리스에 맞선다.

섀도우 더 헤지혹은 에그맨의 할아버지인 프로페서 제럴드가 만든 궁극 생명체이다. 연방 정부로부터 루즈 구출을 의뢰받던 중, "어둠의 장막" 봉인이 풀리고, 그 안에서 나타난 메피레스에 의해 루즈와 함께 미래 세계로 날아간다. 메피레스의 협력 제안을 거절하고 맞서 싸우던 섀도우는, 오메가의 도움으로 현재로 돌아온 후, 실버와 함께 10년 전 세계로 가서 진실을 파헤친다. 다시 메피레스를 봉인하려 하지만 실패하고, 대량으로 분신한 메피레스를 쳐부수지만 카오스 에메랄드를 빼앗긴다. 소닉이 살해당한 후 실의에 빠지지만, 실버의 격려로 다시 일어서 부활한 소닉과 함께 솔라리스와 싸운다.

실버 더 헤지혹은 이블리스에 의해 파괴된 미래 세계에서 온 초능력을 사용하는 은색 고슴도치이다. 메피레스에게 속아 소닉을 "이블리스 트리거"로 오해하고 끈질기게 노리지만, 섀도우와 함께 10년 전 세계로 간 것을 계기로 오해를 풀고 소닉과 화해한다. 미래 세계로 돌아가 이블리스를 블레이즈의 몸에 봉인하지만, 메피레스가 소닉을 죽이고 엘리스에게서 이블리스를 끌어내 융합하면서 시공이 소멸된다. 섀도우조차 의기소침해진 상황에서, 실버는 유일하게 긍정적인 태도로 모두를 격려하며, 소닉을 부활시켜 솔라리스에 맞서 싸운다. 엘리스의 목걸이에 있던 카오스 에메랄드는 실버가 10년 전 세계에 두고 간 것으로, 시간 역설이 발생한다.

4. 2. 아미고 캐릭터

마일스 "테일즈" 파우어는 소닉의 파트너로, 에그맨으로부터 엘리스를 지키려는 소닉과 함께 행동하며 더미 링 폭탄을 사용해 싸운다. 너클즈 디 에키드나는 마스터 에메랄드의 수호자로, 에그맨의 부탁을 받고 소닉에게 전언을 전달하며 소닉, 테일즈와 함께 에그맨을 쫓는다. 그는 보물 사냥꾼이자 마샬 아츠의 달인이며, 루즈와 라이벌 관계이다. 에이미 로즈는 자칭 소닉의 여자친구로, 실버를 소닉으로 착각하고 그의 소닉 찾기를 돕는다. 이후 실버가 소닉을 죽이려 하자 막아서고, 엘리스의 탈출을 돕는다. 소닉이 메피레스의 계략으로 죽임을 당하자 충격을 받지만, 카오스 에메랄드를 통해 부활한 소닉을 보고 눈물을 닦는다.

루즈 더 배트는 보석 전문 보물 사냥꾼이자 연방 정부 대통령 전속 에이전트이다. 에그맨 기지에 잠입하여 "어둠의 장막"을 회수하고 섀도우와 함께 미래 세계로 날아가 섀도우의 모험을 돕는다. E-123 오메가는 에그맨을 증오하는 E-시리즈 마지막이자 최강의 로봇으로, 섀도우, 루즈와 함께 메피레스를 쫓는다. 메피레스를 단독으로 격퇴할 정도의 전투 능력을 보인다. 블레이즈 더 캣은 솔 에메랄드의 수호자로, 실버의 파트너로 행동한다. 마지막에는 이블리스를 스스로와 함께 봉인하고 소멸하지만, 이후 작품에서도 건재하다.

4. 3. 기타 캐릭터

Dr. 에그맨은 이번 작품에서도 세계 정복을 노리는 악의 과학자로 등장한다. 그는 '불꽃의 재앙'(=이불리스)과 카오스 에메랄드를 손에 넣기 위해 소레아나 공국을 습격하여 엘리스를 납치한다. 에그맨의 진정한 목적은 소라리스를 부활시켜 과거, 현재, 미래 모든 차원을 지배하는 것이다. 평소와 달리 일반 사람에 가까운 체형과 신사적인 말투를 사용하며, 진지한 분위기를 풍긴다. 라스트 에피소드에서는 소라리스의 힘에 의해 섀도우 일행과 합류, 시공 소멸에서 탈출하기 위해 협력한다.

엘리스는 물의 도시 소레아나 공국의 황녀이다. 소라리스와 카오스 에메랄드를 노리는 에그맨에게 납치당할 뻔하지만, 소닉에게 구출되어 함께 모험을 한다. 엘리스는 소닉에게 마음을 열고, 인간과 고슴도치라는 종족을 초월한 연정을 품게 된다. 그녀는 배리어를 전개하여 수면을 달리거나 적에게 데미지를 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엘리스에게는 10년 전 사고로 소라리스에서 분리된 이블리스가 소레아나 왕에 의해 체내에 봉인되었다는 비밀이 있다.

소레아나 왕은 엘리스의 아버지이자 소레아나 공국의 선대 국왕이다. 10년 전, 인류의 행복과 죽은 아내와의 재회를 위해 이블리스를 장악하려다 실패하고, 섀도우에게 어둠의 장막을 맡기고 이블리스를 봉인한 직후 사망한다.

그 외에도 엘리스의 시녀, GUN 병사, 소라리스 프로젝트의 연구원들이 등장한다.

4. 4. 보스 캐릭터

에그 케르베로스는 거대한 검은 개 형태의 로봇으로, 머리에 달린 붉은 뿔 모양의 안테나로 적의 위치를 파악한다. 안테나에 직접 잡히면 폭주한다.

에그 제네시스는 공중에 떠 있는 본체와 4개의 추가 무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머리 부분과 본체 하부의 빛나는 코어가 약점이다. 머리 부분은 본체 내부에 격납·노출을 반복하며, 노출된 상태에서만 공격이 가능하다. 본체 하부 코어는 항상 공격 가능하지만, 발판이 없어 공격하기 어렵다. 쓰러뜨린 후에도 특공으로 폭발을 일으킨다.

에그 와이번은 와이번 형태의 로봇으로, 에그맨이 직접 조종한다. 에그 모빌은 존재하지 않으며, 에그 와이번용 조종석을 연결하여 조종한다. 조종석은 캐노피로 보호되어 있어, 캐노피를 파괴해야 공격할 수 있다.

메피레스는 사카즈메 타카유키가 성우를 맡았으며, 섀도우와 똑같은 모습을 한 수수께끼의 생명체이다. 루즈가 회수한 "어둠의 장"에 봉인되어 있었으며, 10년 전 사고로 이블리스와 분리된 솔라리스의 일부이다. 이블리스와 융합하여 솔라리스로 돌아가려 하며, 과거에 섀도우에게 봉인되었으나 현재에 섀도우에 의해 부활했다. 섀도우의 그림자를 통해 모습을 구체화하여 모습, 능력, 성격을 복사했다.

이블리스는 실버와 블레이즈가 사는 미래를 파멸시킨 에너지 생명체로, "영원한 태양"을 의미하는 태양신 솔라리스의 분노인 "불꽃의 재앙"이다. 영원한 생명을 가지고 있어 봉인해야만 파괴 활동을 멈출 수 있다. 등장할 때마다 모습이 바뀌며, 본편에서는 3가지 형태가 존재한다. 다른 곳에 숨겨진 코어를 파괴하여 일시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으며, 블레이즈가 자신의 몸에 이블리스를 봉인했다. 하지만 메피레스가 현대에서 에리스의 몸에서 이블리스를 부활시켰다.

솔라리스는 소레아나 공국에 전해지는 태양신의 이름으로, "영원한 태양"을 의미하는 시공을 조종하는 초차원 생명체이다. 3명의 에피소드를 클리어하면 나오는 라스트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최종 보스이다. 이블리스와 메피레스가 일체화된 본래의 모습으로, 부활했을 때 시공을 소멸시켰다. 전신이 결정으로 구축된 신성한 모습이며, 중심의 붉은 코어가 약점이다.

5. 액션 스테이지

웨이브 오션(Wave Ocean), 더스티 데저트(Dusty Desert), 화이트 아크로폴리스(White Acropolis), 크라이시스 시티(Crisis City), 플레임 코어(Flame Core), 래디컬 트레인(Radical Train), 트로피컬 정글(Tropical Jungle), 킹덤 밸리(Kingdom Valley), 아쿠아틱 베이스(Aquatic Base)는 소닉 더 헤지혹 (2006년 비디오 게임)의 액션 스테이지이다. 엔드 오브 더 월드(End of the World)도 액션 스테이지 중 하나이다.

6. 개발

나카 유지(2008년 사진)가 Prope를 설립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거절한 후, 프로그래머들은 개발의 마지막 단계를 서둘렀다.


''빌리 해처와 자이언트 에그''(2003)를 마친 후,[6] 소닉 팀은 현실적인 톤과 발전된 물리 엔진을 가진 게임을 목표로 차기 프로젝트를 계획했다. 세가가 베스트셀러 ''소닉'' 시리즈의 신작 개발을 지시하자, 그들은 이 방향성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16] 초기에는 6세대 콘솔용으로 기획되었으나, 시리즈 15주년과 출시 시기가 맞물리면서 7세대 콘솔인 플레이스테이션 3 및 Xbox 360용으로 개발 방향을 전환했다.[7] 시리즈 공동 제작자이자 팀 리더인 나카 유지는 7세대 시스템을 위한 첫 번째 ''소닉'' 게임이 더 많은 관객에게 도달하기를 원했으며, ''스파이더맨 2''(2004)와 ''배트맨 비긴즈''(2005)와 같은 슈퍼히어로 영화의 성공을 참고하여 "마블이나 DC 코믹스가 그들의 캐릭터를 영화로 만들 때, 그들은 블록버스터, 엄청난 히트작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우리가 ''소닉''으로 모방하려 했던 것입니다."라고 언급했다.[8]

''소닉 더 헤지혹''의 개발은 2004년 말에 시작되었다.[9] 소닉 팀은 1991년 오리지널 ''소닉 더 헤지혹''과 동일한 제목을 사용하여[10] 이전 게임에서 크게 발전할 것임을 나타냈다.[6] 여러 매체에서는 ''소닉 더 헤지혹''을 프랜차이즈 리부트 시도로 묘사한다.[84][85][11][12] 플레이스테이션 2 게임 ''아스트로 보이''(2004)에서 사용했던 하복 물리 엔진[13]을 이용하여, 소닉 팀은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광대한 레벨을 만들고 다양한 플레이 스타일을 실험할 수 있었다.[16] 또한 전역 조명, 주야간 시스템과 같은 효과를 구현하고, 소닉에게 새로운 능력을 부여할 수 있었다. 감독 나카무라 슌은 2005년 도쿄 게임 쇼(TGS)에서 이 엔진을 시연했다.[14]

Xbox 360 및 플레이스테이션 3의 향상된 하드웨어 성능 덕분에,[3][8] 디자인 팀은 이전 ''소닉'' 게임보다 더 현실적인 환경을 구축할 수 있었다.[15][64] 소닉과 닥터 에그맨은 이러한 환경에 어울리도록 재설계되었는데, 소닉은 키가 커지고 퀼이 길어졌으며, 에그맨은 더 날씬하고 현실적인 외모를 갖게 되었다.[64] 나카무라와 프로듀서 쿠모노 마사히로는 캐릭터들이 더 많은 인간과 상호 작용할 것이며, 이것이 더 나이 많은 플레이어에게 어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7] 한때, 소닉 팀은 소닉에게 현실적인 털과 고무 질감을 부여하는 것을 고려하기도 했다.[14]

소닉 팀은 비주얼에 중점을 두면서도, 오리지널 세가 제네시스 ''소닉'' 게임만큼 매력적인 게임을 만드는 것을 주요 과제로 삼았다.[64] ''소닉 히어로즈''(2003)와 ''섀도우 더 헤지혹''(2005)에서 벗어난 방향을 다시 시리즈의 속도 기반의 근본으로 되돌리고자 했다. 예를 들어, 제네시스 게임처럼 레벨에 여러 경로를 포함시키고 싶어했으며, 현실적인 환경이 이를 돕는 역할을 했다. 또한 이전 ''소닉'' 게임에서 제기된 가상 카메라 시스템 문제도 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했다.[7]

캐릭터의 초기 컨셉 아트. 실버 더 헤지혹이 되었다. 50개 이상의 디자인이 캐릭터에 대해 만들어졌다. 마지막 모습으로 정착하기 전에
실버 더 헤지혹의 초기 컨셉 아트


실버 더 헤지혹의 게임 플레이 스타일은 하복의 물리 기능을 활용하려는 소닉 팀의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실버의 초기 디자인은 오렌지색 밍크였으나, 50번 이상의 디자인 수정을 거쳐 최종적인 고슴도치 형태가 되었다.[16] 섀도우의 게임 플레이를 디자인할 때, 개발자들은 ''섀도우 더 헤지혹''(2005)의 총기류 컨셉을 버리고 다른 캐릭터와 차별화되는 전투 요소를 선택했다. 섀도우의 게임 플레이는 차량 추가로 더욱 다양해졌으며, 각 차량은 고유한 물리 엔진을 사용한다.[17] CGI 컷신은 블러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었다. 애니메이션 감독 레오 산토스는 소닉의 입 위치 때문에 오프닝 장면 애니메이션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회고했다.[18]

개발 도중, 2006년 3월에 나카 유지가 소닉 팀의 수장 자리에서 물러나 자신의 회사인 Prope를 설립하면서[21][19][20] 개발팀은 큰 난관에 봉착했다. 나카는 ''소닉'' 게임 제작 대신 독창적인 작품에 집중하고자 했다.[21] 전 세가 오브 아메리카 CEO 톰 칼린스키는 그의 사임으로 "소닉의 심장과 영혼"이 사라졌다고 언급했다.[8] ''소닉 더 헤지혹''은 원래 모든 주요 7세대 콘솔과 Windows에서 출시될 예정이었지만,[22] 세가는 닌텐도의 Wii 콘솔용 개발 키트를 받았다. 세가는 Wii로 게임을 포팅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것으로 판단하고, 컨트롤러의 모션 감지 기능을 활용하는 ''소닉'' 게임을 구상했다.[24]

결국 팀은 둘로 나뉘었다.[20] 나카무라는 한 팀을 이끌어 Xbox 360 및 플레이스테이션 3용 ''소닉 더 헤지혹'' 개발을 이어갔고, 프로듀서 오가와 요지로는 다른 팀을 이끌어 Wii용 ''소닉과 비밀의 링'' 개발을 시작했다.[23][24] 이 분열로 인해 ''소닉 더 헤지혹'' 개발팀은 인력이 크게 줄었다. 세가가 2006년 연말 쇼핑 시즌까지 게임을 완성하라는 압박을 가하면서, 소닉 팀은 컨트롤 문제와 세가의 품질 보증 부서의 버그 보고를 무시하고 개발 마지막 단계를 서둘러 진행했다.[79][20][8][25] 오가와는 최종 기한이 팀에게 큰 어려움이었으며, Xbox 360 버전 출시가 임박했을 뿐만 아니라 플레이스테이션 3 버전 출시도 얼마 남지 않아 두 시스템 모두를 위한 개발에 엄청난 압박을 받았다고 말했다.[25] 프로듀서 이즈카 타카시는 "우리는 다듬을 시간이 없었고, 최대한 빨리 콘텐츠를 쏟아내고 있었다."라고 회고했다.[8]

7. 평가

{{Video game reviews

| MC = (X360) 46/100[109](X360) 43/100[110](PS3)

| 1UP = C[111] (Xbox 360)

| EuroG = 2/10[112] (Xbox 360)

| Fam = 30/40 (Xbox 360)29/40[113] (PS3)

| GI = 6.75/10[114] (Xbox 360)

| GSpot = 4.4/10[115] (Xbox 360)4.2/10[116] (PS3)

| GSpy = 1.5/5[117] (Xbox 360)

| GRadar = 2/5[118]

| GameZone = 4.5/10[119] (Xbox 360)

| IGN = 4.8/10[120] (Xbox 360)4.2 / 10[121] (PS3)

| OXMUK = 6/10[122] (Xbox 360)

| Play = 5.5/10[123] (PS3)8.5/10[124] (Xbox 360)

| PSM3 = 4.7/10[125] (PS3)

| TX = 6/10[126] (Xbox 360)

| rev1 = ''The A.V. Club''

| rev1Score = D−[127]

}}

''소닉 더 헤지혹''은 훌륭한 그래픽에도 불구하고, 버그, 긴 로딩 시간, 조작 문제, 카메라 문제, 레벨 디자인, 스토리 등으로 인해 비평가들로부터 혹평을 받았다.[76][3][75][54] 특히, 게임스팟은 벽에서 점프할 때 멈추는 버그와 긴 로딩 시간을 지적하며 10점 만점에 4.5점을 주었다.[115] 이 게임은 비평가들 사이에서 최악의 소닉 게임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시리즈의 명성에 큰 타격을 입혔다.

''소닉 더 헤지혹''은 출시 전 시연에서는 좋은 평가를 받았다.[66][65] 이전 게임인 ''소닉 히어로즈''와 ''섀도우 더 헤지혹''에 대한 반응은 엇갈렸지만, 긍정적인 시연과 데모를 통해 일부에서는 ''소닉 더 헤지혹''이 시리즈의 뿌리로 돌아가는 작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66] ''게임스팟''(GameSpot)은 2006년 E3에서 데모를 플레이한 후 "상당한 기대를 보여주었다"고 평가했고,[64] ''게임스파이''(GameSpy)는 그래픽과 환경을 칭찬했다.[65] ''게임스레이더''(GamesRadar)는 출시 전 "놀랍다"고 평가했다.[66]

그러나 ''소닉 더 헤지혹''은 광범위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72][8][82] 메타크리틱(Metacritic)은 두 버전 모두의 평가를 "전반적으로 좋지 않음"으로 분류했다.[50][51] 비평가들은 카메라 시스템, 로딩 시간, 조작, 레벨 디자인, 버그를 비판했다.[76][3] ''게임스팟''은 레벨 디자인이 짜증나는 카메라 시스템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고 지적했고,[75] ''게임 인포머''(Game Informer)는 높은 난이도를 비판하며 카메라가 대부분의 사망 원인이라고 지적했다.[54]

줄거리는 혼란스럽고 부적절하게 어둡다는 비판을 받았다.[75][72][82] 특히 소닉과 인간인 엘리스 공주의 로맨스가 많은 비판을 받았는데,[72][69][70][73][74] ''게임즈TM''(GamesTM)은 이 로맨스를 통해 "'소닉' 시리즈가 완전히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갔다"고 평가했다.[72]

''IGN''은 차세대 ''소닉'' 게임이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짧은 게임 플레이 부분이 있었지만, "보여주자마자 그것들을 빼앗아 간다"고 말하며 시리즈를 재창조하는 데 실패했다고 결론지었다.[76] ''유로게이머''(Eurogamer)는 1996년에 출시되었더라도 이 실수가 눈에 띄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3]

== 대한민국에서의 반응 ==

이 게임은 대한민국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노무현 게임으로 불리며 패러디되었다.[75][54][3][76] 특히 게임에 등장하는 실버 더 헤지혹의 대사 중 "노"라는 대사가 반복되는 점, 엘리스가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장면, 그리고 게임의 발매년도가 2006년이라는 점 등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연관 지어져 해석되었다.[72][8][82]

이러한 패러디는 게임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 맞물려 더욱 확산되었다. 실제로 *소닉 더 헤지혹*(2006)은 광범위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72][8][82] 게임의 여러 요소들, 특히 조작, 레벨 디자인, 버그, 카메라 시스템, 로딩 시간 등이 많은 비판을 받았으며,[76][3] 줄거리 또한 혼란스럽고 부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았다.[75][72][82]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와 노무현 전 대통령을 연상시키는 요소들이 결합하여, *소닉 더 헤지혹*(2006)은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현재까지도 "노무현 게임"으로 회자되며 다양한 패러디물로 재생산되고 있다.

7. 1. 대한민국에서의 반응

이 게임은 대한민국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노무현 게임으로 불리며 패러디되었다.[75][54][3][76] 특히 게임에 등장하는 실버 더 헤지혹의 대사 중 "노"라는 대사가 반복되는 점, 엘리스가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장면, 그리고 게임의 발매년도가 2006년이라는 점 등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연관 지어져 해석되었다.[72][8][82]

이러한 패러디는 게임 자체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와 맞물려 더욱 확산되었다. 실제로 *소닉 더 헤지혹*(2006)은 광범위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72][8][82] 게임의 여러 요소들, 특히 조작, 레벨 디자인, 버그, 카메라 시스템, 로딩 시간 등이 많은 비판을 받았으며,[76][3] 줄거리 또한 혼란스럽고 부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았다.[75][72][82]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와 노무현 전 대통령을 연상시키는 요소들이 결합하여, *소닉 더 헤지혹*(2006)은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현재까지도 "노무현 게임"으로 회자되며 다양한 패러디물로 재생산되고 있다.

8. 테마곡

''소닉 더 헤지혹''의 메인 테마곡은 밴드 제브라헤드의 알리 타바타바이와 매티 루이스가 부른 "His World"이다.[31][29] 섀도우의 테마는 Crush 40가 부른 "All Hail Shadow"이며,[34] 실버의 테마는 벤틀리 존스 (이전에는 리 브라더튼으로 알려짐)가 부른 "Dreams of an Absolution"이다.[34] R&B 아티스트 에이콘은 드림스 컴 트루의 "Sweet Sweet Sweet" 리믹스를 불렀는데, 이는 ''소닉 더 헤지혹 2''의 엔딩 테마로 사용된 곡이다.[30][31] 엘리스의 테마 "My Destiny"는 도나 드 로리가 불렀다.[34]

"His World"는 작사는 Ali Tabatabaee & Johnny Gioeli, 작곡 및 편곡은 오타니 토모야가 담당했으며, 노래는 Ali Tabatabaee & Matty Lewis from Zebrahead가 불렀다. 섀도 에피소드 엔딩 테마이기도 한 "All Hail Shadow"는 Crush 40이 불렀고, 실버 에피소드 엔딩 테마이기도 한 "Dreams of an Absolution"은 Lee Brotherton (REMIX FACTORY)이 불렀다. 라스트 에피소드 엔딩 테마인 "My Destiny"는 Donna De Lory가 불렀다. 소닉 에피소드 엔딩 테마는 드림즈 컴 트루(DREAMS COME TRUE)의 곡을 에이콘(Akon)이 리믹스한 "Sweet Sweet Sweet - 06 Akon Mix" (혹은 Sweet Dreams - 06 Akon Mix)이다.

''소닉 더 헤지혹''은 7세대 콘솔용 첫 번째 ''소닉'' 게임이었기에, 사운드 디렉터 오타니 토모야는 웅장함을 강조하고자 했다.[28] 2007년 1월 10일, 두 개의 사운드트랙 앨범이 세가의 웨이브 마스터 레이블로 발매되었다.[31][32] ''소닉 더 헤지혹 보컬 트랙스: 세브럴 윌스''는 7곡(게임 수록곡 4곡, 리믹스 3곡)을 담고 있으며, Crush 40가 부른 "His World" 버전도 포함되어 있다.[33] ''소닉 더 헤지혹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은 게임에 수록된 93개의 모든 트랙을 3개의 디스크에 담고 있다.[34]

9. 유산

''GameTrailers''와 ''GamesRadar''는 ''소닉 더 헤지혹''을 2006년 가장 실망스러운 게임 중 하나로 꼽았다.[69][78] ''GamesTM''은 "길을 잃은 비디오 게임 프랜차이즈" 목록에서 ''소닉 더 헤지혹'' 프랜차이즈를 맨 위에 올리면서 이 게임을 지목했다.[72] ''The A.V. Club'',[79] ''Kotaku'',[20] ''Game Informer'',[80] 및 ''USgamer''는 이 게임을 ''소닉'' 시리즈 최악의 게임이라고 불렀으며,[81] ''GamesRadar''의 스태프는 이를 역대 최악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로 꼽았다.[82] 이 게임은 플레이어들이 게임의 버그를 보여주는 "Let's Play" 워크스루로 여전히 인기를 얻고 있다.[79][81]

''소닉 더 헤지혹''의 실패는 프랜차이즈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Hardcore Gamer''는 이 게임 이후 "소닉 팀은 ''소닉''에 대한 일관된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완전히 다른 컨셉의 게임을 연이어 출시했다"고 썼다.[84] 특히 소닉 팀은 이후 진지한 분위기를 피하려고 노력했다.[85] ''The A.V. Club''은 ''소닉 컬러즈''와 함께, "시리즈가 가볍고 기발한 이야기의 강점을 재발견했다"고 썼다.[79]

2011년, 세가는 소닉 제네레이션즈를 출시했다. 플레이스테이션 3, Xbox 360, 윈도우 버전은 ''소닉 더 헤지혹''의 "크라이시스 시티" 레벨을 리메이크했으며,[95] 닌텐도 3DS 버전을 포함한 모든 버전은 실버와의 보스전을 재해석하여 포함했다. ''Destructoid''의 짐 스털링은 실버 보스전을 훌륭한 게임의 "걸림돌"이라고 언급했다.[96][97]

2015년, 팬 그룹 Gistix는 유니티 엔진을 사용하여 윈도우용 리메이크를 개발하기 시작했다.[98] 2017년 1월에 데모가 출시되었으며, 언론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99][100] ChaosX가 이끄는 두 번째 팬 팀은 유니티로 별도의 PC 리메이크인 ''소닉 P-06''를 개발하기 시작하여 2019년부터 여러 데모를 출시했다.[102]

섀도우의 해를 기념하기 위해, ''섀도우 제네레이션즈'' 게임이 2024년 10월 25일에 출시되었으며, ''소닉 제네레이션즈''의 리마스터 버전과 함께 출시되었다. 캠페인에서 킹덤 밸리 레벨이 다시 등장한다. 메필레스는 또한 블랙 둠을 막기 위한 섀도우의 퀘스트에서 마주치는 보스전으로 돌아온다.[103] [104]

9. 1. 부정적 영향

''GameTrailers''와 ''GamesRadar''는 ''소닉 더 헤지혹''을 2006년 가장 실망스러운 게임 중 하나로 꼽았다.[69][78] ''GamesTM''은 "길을 잃은 비디오 게임 프랜차이즈" 목록에서 ''소닉'' 프랜차이즈를 맨 위에 올리면서 이 게임을 지목했다.[72] ''The A.V. Club'',[79] ''Kotaku'',[20] ''Game Informer'',[80] 및 ''USgamer''는 이 게임을 ''소닉'' 시리즈 최악의 게임이라고 불렀으며,[81] ''GamesRadar''의 스태프는 이를 역대 최악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로 꼽았다.[82] 이 게임은 플레이어들이 게임의 버그를 보여주는 "Let's Play" 워크스루로 여전히 인기를 얻고 있다.[79][81]

''소닉 더 헤지혹''의 실패는 프랜차이즈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Hardcore Gamer''는 이 게임 이후 "소닉 팀은 ''소닉''에 대한 일관된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완전히 다른 컨셉의 게임을 연이어 출시했다"고 썼다.[84] 특히 소닉 팀은 이후 진지한 분위기를 피하려고 노력했다.[85] ''The A.V. Club''은 ''소닉 컬러즈''와 함께, "시리즈가 가볍고 기발한 이야기의 강점을 재발견했다"고 썼다.[79]

2011년, 세가는 소닉 제네레이션즈를 출시했다. 플레이스테이션 3, Xbox 360, 윈도우 버전은 ''소닉 더 헤지혹''의 "크라이시스 시티" 레벨을 리메이크했으며,[95] 닌텐도 3DS 버전을 포함한 모든 버전은 실버와의 보스전을 재해석하여 포함했다. ''Destructoid''의 짐 스털링은 실버 보스전을 훌륭한 게임의 "걸림돌"이라고 언급했다.[96][97]

2015년, 팬 그룹 Gistix는 유니티 엔진을 사용하여 윈도우용 리메이크를 개발하기 시작했다.[98] 2017년 1월에 데모가 출시되었으며, 언론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99][100] ChaosX가 이끄는 두 번째 팬 팀은 유니티로 별도의 PC 리메이크인 ''소닉 P-06''를 개발하기 시작하여 2019년부터 여러 데모를 출시했다.[102]

섀도우의 해를 기념하기 위해, ''섀도우 제네레이션즈'' 게임이 2024년 10월 25일에 출시되었으며, ''소닉 제네레이션즈''의 리마스터 버전과 함께 출시되었다. 캠페인에서 킹덤 밸리 레벨이 다시 등장한다. 메필레스는 또한 블랙 둠을 막기 위한 섀도우의 퀘스트에서 마주치는 보스전으로 돌아온다.[103] [104]

9. 2. 긍정적 영향

《소닉 더 헤지혹》(2006)은 실버 더 헤지혹, 엘리스 공주, 메필레스, 이블리스와 같은 새로운 캐릭터들을 프랜차이즈에 소개했다.[71][86][87] 이들 대부분은 그 이후로 거의 등장하지 않았지만,[73][86] 실버는 《소닉 라이벌즈》(2006)와 그 속편,[88]소닉 라이더즈: 제로 그래비티》(2008),[89] 《마리오 & 소닉 올림픽 겨울철 경기》와 그 속편,[90] 닌텐도 DS 버전의 《소닉 컬러즈》(2010)와 《소닉 포시즈》(2017)에 등장하며,[91][92] Archie Comics에서 발행한 《소닉 더 헤지혹》 만화책 시리즈에도 등장했다.[93]

게임의 메인 테마곡이자 소닉의 테마곡인 "His World"는 Drake의 2017년 노래 "KMT"에서 샘플링되었다.[94]

2015년에는 팬 그룹 Gistix가 유니티 엔진을 사용하여 윈도우용 리메이크를 개발하기 시작했다.[98] 2017년 1월에 데모가 출시되었으며,[99][100] 두 번째 데모는 2017년 말에 출시되었다.[101] ChaosX가 이끄는 두 번째 팬 팀은 유니티로 별도의 PC 리메이크인 《소닉 P-06》를 개발하기 시작하여 2019년부터 여러 데모를 출시했다.[102]

9. 3. 후속작에 미친 영향

''소닉 더 헤지혹''의 실패는 프랜차이즈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84] 소닉 팀은 ''소닉 언리쉬드''(2008)를 시작으로 진지한 분위기를 피하려고 노력했다.[85]

이 게임은 실버 더 헤지혹, 엘리스 공주, 메필레스, 이블리스를 프랜차이즈에 소개했지만,[71][86][87] 대부분 그 이후로 거의 등장하지 않았다.[73][86] 실버는 ''소닉 라이벌즈''(2006)와 그 속편,[88] ''소닉 라이더즈: 제로 그래비티''(2008),[89] 그리고 ''마리오 & 소닉 올림픽 겨울철 경기''와 그 속편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하며,[90] 닌텐도 DS 버전의 ''소닉 컬러즈''(2010)와 ''소닉 포시즈''(2017)에서 조연으로 등장한다.[91][92]

2011년 ''소닉 제네레이션즈''는 ''소닉 더 헤지혹''의 "크라이시스 시티" 레벨과 실버 보스전을 리메이크했다.[95] 2024년에는 ''섀도우 제네레이션즈''에서 킹덤 밸리 레벨과 메필레스 보스전이 다시 등장한다.[103] [104]

참조

[1] 서적 Sonic the Hedgehog (PS3, 360) (Prima Official Game Guide) Prima Games 2006-11-14
[2]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http://www.playmagaz[...] Play Magazine 2017-03-18
[3]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http://www.eurogamer[...] Gamer Network 2017-03-22
[4] 서적 Sonic the Hedgehog instruction manual Sega 2006-11-14
[5] 게임 Sonic the Hedgehog
[6] 웹사이트 Sonic Channel / Creator's Interview / 010: Shun Nakamura http://sonic.sega.jp[...] Sega 2017-03-20
[7] 웹사이트 E3 2006: Sonic Team Interview http://interviews.te[...] 2006-05-24
[8] 간행물 Where Sonic Went Wrong http://www.gameinfor[...] GameStop 2016-11-14
[9] 웹사이트 Soleanna communication: Finally last http://sonic.sega.jp[...] Sega 2017-09-07
[10] 웹사이트 TGS 2005: Sonic PS3 Named http://www.ign.com/a[...] Ziff Davis 2013-01-08
[11] 웹사이트 One fan's struggle to fix the worst game in Sonic history https://www.engadget[...] 2020-03-20
[12] 웹사이트 Sonic 06 is back on Xbox Store and is £3.39 more than it's worth https://www.vg247.co[...] 2022-05-25
[13] 웹사이트 Sega's Yuji Naka Talks! http://xbox.gamespy.[...] IGN 2016-11-19
[14] 웹사이트 TGS 2005: Eyes-on Sonic Next-Gen http://www.ign.com/a[...] Ziff Davis 2013-01-08
[15] 웹사이트 GameSpy: Sonic the Hedgehog http://xbox360.games[...] IGN 2006-05-04
[16] 웹사이트 Creating Silver the Hedgehog http://www.ign.com/a[...] Ziff Davis 2017-03-20
[17] 웹사이트 Soleanna communication: Shadow's story http://sonic.sega.jp[...] Sega 2017-09-06
[18] 웹사이트 Blur Studio: Bring Sonic to Life With Morph-O-Matic http://www.di-o-mati[...] 2017-02-13
[19] 웹사이트 How Sega can save its mascot with Sonic Mania https://www.redbull.[...] 2017-06-14
[20] 웹사이트 Ten Years Ago Sonic The Hedgehog Was At Its Worst https://www.kotaku.c[...] Gawker Media 2017-03-18
[21]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s long, great, rocky history https://www.polygon.[...] 2018-03-27
[22] 서적 Sonic Riders instruction manual (UK) Sega 2006-03-17
[23] 웹사이트 Lifting the lid on Sonic's Secret Rings http://wii.ign.com/a[...] 2009-11-09
[24] 간행물 New Blue
[25] 웹사이트 Sonic Wii Interview with Yojiro Ogawa, page 3 http://games.kikizo.[...] Games.kikizo.com 2012-12-12
[26] 웹사이트 GameSpy: Sonic the Horndog IGN 2006-10-06
[27] 게임 Sonic the Hedgehog Sega 2006-11-14
[28] 웹사이트 Tomoya Ohtani Interview: Sonic Music for a New Generation http://www.vgmonline[...] 2015-12-05
[29] 웹사이트 How does Sonic Forces' main theme measure up to past games? https://www.destruct[...] Enthusiast Gaming 2017-03-17
[30] 간행물 Sonic the Hedgehog 1 & 2 Japan – Dreams Come True https://www.famitsu.[...] Famitsu Japan 2011-10-12
[31]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http://sonic.sega.jp[...] Sega 2006-09-29
[32] 웹사이트 Sonic Series: Game Music/Animation/Soundtrack/Movie/Miscellaneous http://www.wave-mast[...] Wave Master, Co. 2007-01-10
[33] 문서 Sonic the Hedgehog Vocal Traxx: Several Wills booklet
[34] 문서 Sonic the Hedgehog Original Soundtrack Sega 2007-01-10
[35] 웹사이트 E3 2005: SEGA Hits the Next Level http://www.ign.com/a[...] Ziff Davis 2013-01-08
[36] 웹사이트 Sonic: HD Tour http://www.ign.com/a[...] Ziff Davis 2006-11-07
[37] 웹사이트 Sega and Microsoft create new deal to promote Sonic Rivals https://www.engadget[...] Oath, Inc. 2006-12-04
[38]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 Xbox 360 http://www.ign.com/g[...] Ziff Davis 2017-02-07
[39]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Xbox Live Arcade) http://www.eurogamer[...] Gamer Network 2017-05-27
[40] 웹사이트 Xbox 360 http://sonic.sega.jp[...] Sega 2017-05-26
[41] 웹사이트 PlayStation 3 http://sonic.sega.jp[...] Sega 2017-05-26
[42]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 PlayStation 3 http://www.ign.com/g[...] Ziff Davis 2017-02-07
[43] 웹사이트 Nipples discovered in Sonic 2006: OH THE SCANDAL! https://www.destruct[...] Enthusiast Gaming 2017-08-17
[44] 간행물 Sonic Boss Fights Downloadable from XBL https://www.wired.co[...] Condé Nast 2017-09-02
[45] 웹사이트 "ダウンロードコンテンツ | Sonic the Hedgehog" http://sonic.sega.jp[...] Sega 2012-12-12
[46] 웹사이트 Sonic for PS3 delayed -- it's like rain on your wedding day https://www.engadget[...] Oath Inc. 2017-09-02
[47]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http://marketplace.x[...] Microsoft 2017-03-22
[48] 웹사이트 Sega Doesn't Want Sub-par Sonic Games On Shelves Anymore https://kotaku.com/5[...] 2019-02-22
[49] 웹사이트 The infamous Sonic '06 has been relisted on Xbox https://www.destruct[...] 2022-05-26
[50]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2006) for Xbox 360 https://www.metacrit[...] 2024-01-18
[51]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2006) for PlayStation 3 https://www.metacrit[...] 2024-01-18
[52] 웹사이트 Reviews: Sonic the Hedgehog for Xbox 360 http://www.1up.com/r[...] Ziff Davis 2006-11-15
[53]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 Famitsu Scores Archive http://fs.finalfanta[...] 2011-10-27
[54] 간행물 "Sonic the Hedgehog'' for Xbox 360 Review from Game Informer" http://www.gameinfor[...] 2008-09-08
[55]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17-03-22
[56] 웹사이트 GameSpy: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xbox360.games[...] IGN 2008-07-20
[57]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www.gamesrada[...] Future Publishing 2017-03-22
[58]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 360 – Review" http://www.gamezone.[...] GameZone 2011-12-04
[59]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www.ign.com/a[...] Ziff Davis 2017-03-22
[60] 웹사이트 Xbox Review: Sonic The Hedgehog http://www.oxm.co.uk[...] Future Publishing 2017-03-22
[61] 뉴스 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www.computera[...] Future Publishing 2017-03-18
[62]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Review (X360) http://reviews.teamx[...] TeamXbox 2012-04-12
[63] 뉴스 Sonic the Hedgehog https://www.avclub.c[...] 2013-10-27
[64] 웹사이트 E3 06: Sonic the Hedgehog Preshow Report: Sonic Goes Next-Gen http://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17-03-20
[65]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http://xbox360.games[...] IGN 2017-08-19
[66] 웹사이트 The rise, fall and deafening crash of Sonic the Hedgehog http://www.gamesrada[...] Future Publishing 2017-06-09
[67] 웹사이트 Full Year Results https://www.segasamm[...] Sega Sammy Holdings 2017-06-11
[68]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Box Shots and Screenshots for Xbox 360 http://www.gameranki[...] CBS Interactive 2018-01-29
[69] 웹사이트 GamesRadar's Anti-awards 2006 http://www.gamesrada[...] Future Publishing 2017-03-22
[70] 웹사이트 The absolute worst Sonic moments http://www.gamesrada[...] Future Publishing 2017-03-22
[71] 웹사이트 The 10 worst Sonic friends http://www.gamesrada[...] Future Publishing 2017-06-06
[72] 간행물 10 Videogame Franchies that Lost their Way Imagine Publishing 2009-11
[73] 웹사이트 Remember When Sonic Kissed A Woman? http://kotaku.com/re[...] Gawker Media 2017-06-08
[74] 웹사이트 The 8 wrongest romances in video games http://www.gamesrada[...] Future Publishing 2017-05-31
[75]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06-11-21
[76]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www.ign.com/a[...] Ziff Davis 2006-11-30
[77] 간행물 PS3 : ''Sonic the Hedgehog'' http://www.playmagaz[...] 2011-10-27
[78] 웹사이트 Top 10 Disappointments of the Decade https://www.youtube.[...] Alphabet 2016-05-19
[79] 웹사이트 The best, worst, and weirdest games from 25 years of Sonic The Hedgehog http://www.avclub.co[...] The Onion 2017-05-31
[80] 간행물 Super Replay – The Worst Sonic The Hedgehog Ever http://www.gameinfor[...] GameStop 2017-03-13
[81] 웹사이트 Gotta Go Fast: Ranking All of The Sonic The Hedgehog Games http://www.usgamer.n[...] Gamer Network 2017-08-18
[82] 웹사이트 The 100 worst games of all time http://www.gamesrada[...] Future Publishing 2017-05-31
[83] 웹사이트 Voice actors overdubbed the worst 'Sonic' game to make it the best 'Sonic' game https://mashable.com[...] 2023-01-10
[84] 웹사이트 Review: Sonic Colors: Ultimate https://hardcoregame[...] 2021-09-01
[85] 간행물 The Video Game Reboot Report Card https://www.gameinfo[...] 2015-11-05
[86] 간행물 More Burning Questions About The Sonic The Hedgehog Franchise Answered http://www.gameinfor[...] GameStop 2017-08-07
[87] 웹사이트 Wot, no Robotnik? http://www.gamesrada[...] Future Publishing 2006-10-12
[88] 웹사이트 Sonic Rivals Review http://www.ign.com/a[...] News Corporation 2017-05-29
[89] 웹사이트 Sonic Riders: Zero Gravity dives into stores http://www.gamezone.[...] 2017-06-20
[90] 웹사이트 'Mario & Sonic At The Rio 2016 Olympic Games' Review: This Is Really Fun https://www.forbes.c[...] 2017-05-29
[91] 웹사이트 Review: Sonic Colors DS https://www.destruct[...] Enthusiast Gaming 2017-06-20
[92] 웹사이트 Sonic Forces story trailer shows a world ruled by Eggman https://www.destruct[...] 2017-11-26
[93] 서적 The Complete Sonic the Hedgehog Comic Encyclopedia Archie Comics 2012-10-10
[94] 웹사이트 Drake's More Life: Here are the full credits and samples, from Sonic the Hedgehog to Lionel Ritchie http://www.factmag.c[...] 2017-03-18
[95] 웹사이트 Sonic Generations video shows Crisis City, Rooftop Run, and Planet Wisp levels http://www.vg247.com[...] 2012-12-12
[96] 웹사이트 Sonic Generations bosses trailer shows some of the jerks you'll be jumping on http://www.gamesrada[...] Future Publishing 2017-03-22
[97] 웹사이트 BARF: Silver the Hedgehog is in Sonic Generations https://www.destruct[...] Enthusiast Gaming 2011-10-11
[98] 웹사이트 Some Modders Have Spent Over a Year Remaking the Worst 'Sonic' Game for PC http://motherboard.v[...] Vice 2017-01-08
[99] 웹사이트 A Revamped Sonic the Hedgehog 2006 Demo Has Arrived…And It Doesn't Suck http://wwg.com/2017/[...] ComicBook.com 2017-05-29
[100] 웹사이트 '[Watch] Sonic The Hedgehog 2006 has been remade into a game that doesn't suck' http://www.gamezone.[...] 2017-01-10
[101] 웹사이트 How community coders are remaking the best - and the worst - Sonic games https://www.eurogame[...] Gamer Network 2017-10-08
[102] 웹사이트 You can now play the terrible Sonic '06 on PC thanks to this Unity remake https://www.pcgamer.[...] 2019-07-15
[103] 웹사이트 Sonic X Shadow Generations Continues To Show Love For Sonic 06 https://www.nintendo[...] 2024-08-21
[104] 웹사이트 Maria & Mephiles Feature In New Sonic X Shadow Generations Trailer https://www.nintendo[...] 2024-10-20
[105] 문서
[106] 문서
[107] 문서
[108] 문서
[109]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Reviews (Xbox 360) http://www.metacriti[...] 2008-11-22
[110] 웹사이트 Sonic the Hedgehog Reviews (PS3) http://www.metacriti[...] 2008-11-22
[111] 웹인용 Reviews: Sonic the Hedgehog for Xbox 360 http://www.1up.com/r[...] 지프 데이비스 2006-11-15
[112] 웹인용 Sonic The Hedgehog http://www.eurogamer[...] 2006-11-24
[113] 웹인용 Sonic the Hedgehog – Famitsu Scores Archive http://fs.finalfanta[...]
[114] 웹인용 "Sonic the Hedgehog" for Xbox 360 Review from Game Informer http://www.gameinfor[...] Game Informer 2007-01
[115] 웹인용 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06-11-21
[116] 웹인용 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07-02-02
[117] 웹인용 GameSpy: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xbox360.games[...] GameSpy
[118] 웹인용 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www.gamesrada[...] Future Publishing 2006-11-21
[119] 웹인용 "Sonic the Hedgehog" – 360 – Review http://www.gamezone.[...] GameZone 2007-01-05
[120] 웹인용 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www.ign.com/a[...] Ziff Davis 2006-11-30
[121] 웹인용 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www.ign.com/a[...] Ziff Davis 2007-02-07
[122] 웹인용 Xbox Review: Sonic The Hedgehog http://www.oxm.co.uk[...] Future Publishing 2007-05-31
[123] 저널 PS3 : "Sonic the Hedgehog" http://www.playmagaz[...] 2007-02
[124] 웹인용 Sonic the Hedgehog http://www.playmagaz[...] Play Magazine
[125] 웹인용 Sonic The Hedgehog Review http://www.computera[...] Future Publishing 2007-03-23
[126] 웹인용 Sonic The Hedgehog Review (Xbox 360) http://reviews.teamx[...] TeamXbox 2006-11-29
[127] 웹인용 Sonic the Hedgehog http://www.avclub.co[...] The A.V. Club 2007-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